-
11
-
롤랑 바르트의 문학사용법 - ‘디아포라’ 개념을 중심으로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8,
pp.217-239)
-
12
-
사르트르, 마르크스와 프로이트 사이: ‘종합적 인간학’을 위한 ‘방법’의 문제를 중심으로
-
변광배;
;
(현대유럽철학연구,
v.0,
2016,
pp.167-194)
-
13
-
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(Ⅰ) : 독자에 의한 문학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4,
pp.175-206)
-
14
-
사르트르?아롱의 이념적 결렬과 한국전쟁에 관한 해석
-
변광배;
한국외대;
(프랑스학연구,
v.25,
2003,
pp.419-458)
-
15
-
오토픽션의 실제: 파트릭 모디아노의 『어두운 상점들의 거리』 분석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13,
pp.83-112)
-
16
-
기부문화의 이론적 토대 -모스, 바타이유, 데리다, 사르트르의 증여 개념을 중심으로-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8,
pp.185-213)
-
17
-
사르트르와 68혁명 (II) - 마오주의자들과의 교류와 지식인관의 변모 -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어권 문화예술연구,
v.73,
2020,
pp.54-85)
-
18
-
저자의 죽음과 귀환: R. 바르트를 중심으로
-
변광배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3,
pp.209-231)
-
19
-
사르트르의 참여문학론(II) : 독자를 위한 문학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2,
pp.125-150)
-
20
-
사르트르 미학의 이론적 토대 : 헤겔 미학의 수용과 비판
-
변광배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5,
pp.371-40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