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2/19 페이지
-
11
-
근대 일본의 역사교육과 고구려사, 발해사 인식
-
金恩淑;
;
(歷史 敎育,
v.103,
2007,
pp.137-173)
-
12
-
발해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향해 - 김종복의『발해정치외교사』(일지사, 2009)
-
김진광;
;
(고구려발해연구,
v.40,
2011,
pp.277-288)
-
13
-
About Park Si-hyung's view of history and the study of Balhae history
-
Shim, Hee-Chan;
;
(역사와 교육 = The history education review,
v.34,
2022,
pp.321-356)
-
14.
- 초등사회과 교과서의 발해사 관련 내용 검토
- 백인철
-
한국교원대학교, 국내석사,
68 p., 2000
-
15
-
일본에서 접근한 발해사 - 酒寄雅志와 石井正敏의 저서를 읽고
-
宋基豪;
;
(歷史 學報,
v.172,
2002,
pp.377-390)
-
16
-
최근 러시아의 발해사 연구 동향과 과제
-
스토야킨 막심;
국립문화재연구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4,
2022,
pp.155-215)
-
17.
- 한국과 북한의 중학교 역사교과서 분석과 수업방안 : 발해사를 중심으로
- 홍희송
-
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2 p., 2019
-
18
-
중화질서의 와해와 유교적 사유체계의 변동 - 개항기 역사서의 발해사 서술을 중심으로
-
JongBok Kim,;
;
(아시아문화연구,
v.26,
2012,
pp.1-33)
-
19
-
2000년 이후 북한 발해사 연구의 회고와 전망
-
윤재운;
대구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5,
2023,
pp.129-152)
-
20
-
최근 10년간 발해사 연구성과와 방향
-
김은국;
동북아역사재단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16,
pp.95-1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