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수신서 『유학강요』의 위상과 ‘전통의 발명’ -일본인물의 ‘위인화’를 중심으로-
-
박시언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3,
pp.5-32)
-
12
-
여성사적 관점에서 본 19세기 말 일본의문명 전환과 지적 생태계 확장― 『婦女鑑』과 『幼學綱要』의 표상 비교
-
박시언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4,
pp.189-219)
-
13
-
⟨장화홍련전⟩을 통해 본 장화, 홍련의 자기인식 문제
-
박시언;
건국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54,
2020,
pp.345-383)
-
14
-
『부녀감』에 표상된 근대적 ‘부인’과 직업공간으로서 ‘가정’
-
박시언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2,
pp.107-128)
-
15
-
한국 구전설화 ⟨도통하러 떠난 세 사람⟩에 나타난 ‘돌(石) 삶기’ 화소의 의미 연구
-
박시언;
건국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57,
2020,
pp.293-330)
-
16
-
‘후회’에 대한 인간의 인지적 특징과 그 문학치료적 활용 방안 -유고 민담 ⟨영원한 어둠의 세계⟩를 중심으로-
-
박시언;
건국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59,
2021,
pp.57-92)
-
17
-
⟨원천강본풀이⟩에 나타난 매개와 통합의 공간적 구조의 의미 연구
-
박시언;
건국대학교;
(구비문학연구,
v.0,
2022,
pp.5-52)
-
18
-
청일전쟁 시기 쇼켄(昭憲) 황후의 총후(銃後) 표상 -또 다른 전쟁 이미지의 탄생-
-
박시언;
성균관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21,
pp.141-171)
-
19
-
옛이야기를 활용한 문학예방치료로서 태교 스토리텔링 시론
-
박시언;
건국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21,
pp.177-211)
-
20
-
무속신화 ⟨바리공주⟩ 속 주변 인물의 관계맺기 양상과 신직 연구 -비리공덕 할미·할아비를 중심으로-
-
박시언;
건국대학교;
(한국무속학,
v.0,
2024,
pp.197-2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