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28건 중 228건 출력
, 2/23 페이지
-
11
-
세계사 교과서에서 중국 민중운동에 관한 서술 내용 분석
-
宋堯厚;
;
(歷史 敎育,
v.93,
2005,
pp.67-108)
-
12
-
19세기 후반 민중운동과 公論
-
Bae, Hang seob;
;
(韓國史硏究= The journal of Korean history,
v.2013,
2013,
pp.313-347)
-
13.
- 민중운동과 시민운동의 분리와 연대 : 1980년대 이후 부천지역 사회운동을 중심으로
- 김은미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28p., 1993
-
14
-
한국 천주교민중운동과 ‘가톨릭 시민성’ 탐구
-
황경훈;
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21,
pp.349-384)
-
15
-
쟁점토론 및 평론-시민운동이냐, 민중운동(론)이냐-김세균, 강문구 토론에 대한 비평
-
백욱인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17,
1993,
pp.168-174)
-
16
-
「민중운동과 반자본적 주제」에 대한 논평
-
강문구;
;
(哲學硏究 : 대한철학회논문집 =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,
v.102,
2007,
pp.49-51)
-
17
-
개방화에 따른 민중운동의 대응
-
장상환;
;
(경제와 사회 = Economy and Society,
v.22,
1994,
pp.138-163)
-
18
-
한국문학사를 사고하는 하나의 길: 민중운동․공론장․정의
-
임형택;
퇴계학연구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8,
pp.5-24)
-
19
-
政爭과 ‘5ㆍ4’: 외교투쟁에서 민중운동으로
-
펑샤오차이;
;
(중국근현대사연구 = Korean studies of Modern Chinese history,
v.43,
2009,
pp.71-89)
-
20
-
민중운동사 이후의 민중사 - 민중사 연구의 현재와 새로운 모색
-
허영란;
;
(역사문제연구,
v.2005,
2005,
pp.301-31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