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지식인의 월북과 남북 국어학계의 재편 : 언어정책을 중심으로
-
이준식;
민족문제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14,
pp.1-28)
-
12
-
일제하 식민권력의 촌락 침투와 촌락 사회
-
김민철;
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민족운동사연구,
v.0,
2010,
pp.179-226)
-
13
-
이승만 정치기반 형성 연구의 디딤돌 -⟨⟨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⟩⟩(고정휴, 연세대학교 출판부, 2004)-
-
김도훈;
민족문제연구소;
(역사와 현실,
v.0,
2004,
pp.369-377)
-
14
-
日帝의 臨時政府 動靜報告 자료
-
金度勳;
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근현대사연구,
v.27,
2003,
pp.210-209)
-
15
-
일제의 제암리교회 학살·방화 사건 처리에 관한 소고
-
김승태;
민족문제연구소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08,
pp.417-448)
-
16
-
한국 민주화와 친일청산 문제
-
박수현;
민족문제연구소;
(기억과 전망,
v.0,
2011,
pp.130-166)
-
17
-
정태진의 한글운동론과 조선어학회 활동 : 연희전문학교 학풍과의 관련을 중심으로
-
이준식;
민족문제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16,
pp.75-104)
-
18
-
3․1혁명과 친일파의 대응 양태
-
이준식;
민족문제연구소;
(인문과학연구,
v.0,
2018,
pp.109-138)
-
19
-
드라마 「여명의 눈동자」에 투영된 강제동원 서사 -사이판 섬 동원 묘사를 중심으로-
-
김명환;
민족문제연구소;
(북악사론,
v.0,
2025,
pp.43-78)
-
20
-
강제동원 피해자의 ‘고통’, 그리고 ‘인권’과 ‘존엄’
-
김영환;
민족문제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89-1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