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643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국립영화제작소의 민속 관련 문화영화의 제작 배경과 목적
-
이상현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23,
pp.111-148)
-
12
-
해방기 ‘아메리카 영화론’과 탈식민 문화 기획
-
한영현;
세명대 교양과정부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19,
2013,
pp.581-617)
-
13.
- 전주 ‘영화의거리’의 영화문화 장소성 연구
- 곽효민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00 p., 2020
-
14
-
SF 영화 <매트릭스>에 나타난 문화적 혼성성
-
황혜진;
이승환;
목원대학교 영화학부;
목원대학교 영화학부;
(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=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,
v.5,
2005,
pp.92-99)
-
15
-
1950년대 여성문화와 미국영화 - 『여원』의 미국영화 담론과 여성문화 형성의 주체적 논리
-
이선미;
;
(韓國文學硏究= Studies in Korean litererature,
v.37,
2009,
pp.469-509)
-
16
-
할리우드 영화의 장르별 수용 : 한국 영화시장에서의 문화적 할인현상을 중심으로1
-
박승현;
장정헌;
한림대학교 언론정보학부;
고려대학교 정보문화연구소;
(만화애니메이션 연구=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,
v.36,
2014,
pp.511-551)
-
17
-
엘마 피셔의 영화 〈낯선 친구〉(2003)를 활용한 상호문화교육
-
Goak, Jeang-Yean;
;
(獨語敎育=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,
v.79,
2020,
pp.141-167)
-
18
-
일제 말기 관람문화와 조선영화 관람의 의미
-
경지현;
;
(한국극예술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drama and theatre,
v.30,
2009,
pp.151-183)
-
19
-
대한뉴스, 문화영화, 근대적 기획으로서의 "가족계획"
-
변재란;
;
(영화연구= Film studies,
v.2012,
2012,
pp.207-235)
-
20
-
정부수립기~1950년대 문화영화와 국가정체성
-
이하나;
;
(역사와 현실,
v.2009,
2009,
pp.519-5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