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홍이섭의 과학사 연구를 넘어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5,
pp.31-63)
-
12
-
19세기의 호남 실학자 이청의 <井觀編> 저술과 서양 천문학 이해
-
문중양;
;
(한국문화,
v.0,
2006,
pp.125-156)
-
13
-
김영식의 동아시아 과학 전통 읽기를 넘어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한국과학사학회지,
v.36,
2014,
pp.423-437)
-
14
-
세종대 척도의 탄생 ; 주척과 황종척을 중심으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1,
pp.239-267)
-
15
-
崔漢綺의 기론적 서양과학 읽기와 기륜설
-
문중양;
;
(대동문화연구,
v.43,
2003,
pp.273-312)
-
16
-
조선후기 실학자들의 과학담론, 그 연속과 단절의 여사 : 기론(氣論)적 우주론 논의를 중심으로
-
문중양;
;
(한국학,
v.26,
2003,
pp.27-52)
-
17
-
18세기말 천문역산 전문가의 과학활동과담론의 역사적 성격-徐浩修와 李家煥을 중심으로-
-
문중양;
한국정신문화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03,
pp.51-84)
-
18
-
세종대 박연의 율관 제작; 고악 구현의 난제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0,
pp.49-78)
-
19
-
Re-Thinking “Independence” of Science and Technology during King Sejong’s Reign
-
문중양;
;
(The Review of Korean Studies,
v.9,
2006,
pp.39-70)
-
20
-
Traditional Cosmology Associated with the I-Ching and Anti-Cosmological Discourses in 18th-Century Korea
-
문중양;
서울대학교;
(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,
v.12,
1999,
pp.177-22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