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남성 신무용의 서막을 연 〈가사호접〉의 근대적 가치
-
황희정;
한양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3,
pp.227-240)
-
12.
- 백제시대의 문화예술과 무용에 관한 고찰
- 현숙
-
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5 p., 2010
-
13
-
주리의 「푸른 道袍(도포)」에 나타난 한국적 발레의 특성 연구 +
-
김윤수;
성균관대학교;
(무용역사기록학,
v.71,
2023,
pp.21-33)
-
14.
- 韓國創作舞踊의 總體藝術的 性格과 그 指向 : 歷史的 考察과 公演藝術의 實際 分析을 中心으로
- 주수연
-
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i, 67p., 1990
-
15.
- 현대발레에 나타난 안무 특성에 관한 연구 : 1980년 이후 유럽의 안무가를 중심으로
- 강민지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0p., 2003
-
16.
- 직업발레무용수의 전문성 인식 및 차이조사 : 예술고등학교 발레 전공생을 대상으로
- 이승현
-
경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9 p., 2023
-
17.
- 정민축원무의 무용 구성요소 분석
- 양종남
-
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7장, 2022
-
18.
- 경기 도당굿의 ‘화랭이’ 연구
- 목진호
-
중앙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72 p., 2013
-
19
-
포스트 모던댄스에 나타난 니체의 예술경향에 관한 연구
-
조은미;
이화여자대학교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37,
2003,
pp.211-224)
-
20
-
조선왕조 정재여령의 공연예술사적 조명 - 조선후기 의궤를 중심으로 -
-
송방송;
한국음악사학회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0,
pp.97-1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