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만보산 사건과 『리턴 보고서』-재만 조선인에 관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-
-
고바야시 레이코;
광운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7-33)
-
12
-
장학량정권의 對韓人政策-만보산 사건’의 遠因을 찾아서-
-
송한용;
전남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35-70)
-
13
-
Wanpaoshan Incident and the 1931 anti-Chinese riots of Korea reconstructed from British Foreign Office Records
-
Kang, Jin-A;
;
(東洋史學硏究 =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,
v.156,
2021,
pp.147-192)
-
14
-
만보산 사건과 중국인의 조선인식
-
이준식;
연세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2,
pp.237-270)
-
15
-
만보산 사건과 『리턴 보고서』-재만 조선인에 관한 조사결과를 중심으로-
-
고바야시 레이코;
광운대학교;
(만주연구,
v.0,
2011,
pp.7-33)
-
16
-
‘만보산 사건’과 동아시아 ‘기억의 터’ -한국인들의 기억을 중심으로-
-
윤해동;
한양대학교;
(사이間SAI,
v.0,
2013,
pp.479-514)
-
17.
- 만보산 사건의 문학화와 근대 한중 민족 관념의 복합성 : ?농군?, 『만보산』의 데이터 시각화와 그 해석을 중심으로
- 이택
-
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, 2024
-
18
-
동아시아 '타자' 형상 비교 연구- 만보산 사건을 수용한 한중일 소설을 중심으로
-
김창호;
강원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4,
pp.379-404)
-
19
-
The Novelization of the Wanbaoshan Incident : Focusing on Four Newly Discovered Chinese Short Stories
-
Jin, Gang;
;
(통일인문학 =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89,
2022,
pp.423-452)
-
20
-
소설로 분광된 ‘만보산사건’ 읽기 -이토 에노스케(伊藤永之介)의 「만보산」을 중심으로-
-
노상래;
영남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09,
pp.389-4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