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4건 중 424건 출력
, 2/43 페이지
-
11
-
17세기 러시아 산문과 소설의 발생
-
변현태;
서울대학교;
(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,
v.0,
2004,
pp.109-136)
-
12
-
프랑스·러시아·영국의 경판본 소설 소장 양상 연구
-
서혜은;
경북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23,
pp.141-184)
-
13
-
1920년대 한국 서간체 소설과 스쩨뿐의 철학 서간체 소설 비교 연구 - 1920년대 한국 서간체 소설에 나타나고 있는 러시아 문학의 영향을 중심으로
-
권기배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0,
2008,
pp.67-92)
-
14
-
러시아 상징주의 소설시학의 특징들 - 신화시학을 중심으로
-
문준일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35,
2011,
pp.341-360)
-
15.
- 공지영 소설 '봉순이 언니'의 러시아어 번역분석
- 한진주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장 , 105 p., 2007
-
16
-
러시아 소설의 세계화 - 블라지미르 나보코프의 문학과 사회주의 리얼리즘
-
권철근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7,
2005,
pp.137-174)
-
17
-
러시아 낭만주의 환상소설 연구 - 안또니 뽀고렐스끼(А. Погорельский)의 『라페르또보의 양귀비과자장수』에 나타난 러시아 초기 낭만주의 환상소설의 특징을 중심으로
-
최행규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24,
2008,
pp.185-206)
-
18
-
CIS 지역 러시아고려인 소설 연구
-
정덕준;
정미애;
한림대 국문학과 교수;
한림대 연구교수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11,
2007,
pp.375-402)
-
19
-
현대 러시아의 새로운 코드 : 글래머 신화 - 롭스끼의 소설 〈Casual〉, 〈행복의 날-내일(Деньсчастья-завтра)〉고찰
-
양영란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3,
2011,
pp.225-243)
-
20
-
러시아 모더니즘 소설과 “모스크바 신화”의 탈신화화
-
;
;
(노어노문학,
v.24,
2012,
pp.131-15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