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2건 중 162건 출력
, 2/17 페이지
-
11.
- 디드로小說 '라모의 조카'硏究 : 寫實主義的 觀點을 中心으로
- 김태형
-
全北大學校, 국내석사,
iii,76p., 1987
-
12
-
라모의 음악비극 ≪이폴리트와 아리시≫에 나오는 ‘덕’: 테제와 이폴리트를 중심으로
-
유선옥;
성신여자대학교;
(음악이론연구,
v.36,
2021,
pp.11-38)
-
13
-
라모 음악이론의 과학적 방법과 은유
-
곽현규;
춘천교육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7,
pp.5-20)
-
14.
- 한국교회 설교의 회복을 위한 기롤라모 사보나롤라의 설교방법론 연구
- 방신애
-
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135 p., 2014
-
15
-
Comparison of Victory-Commemorative Works of Rameau and Handel
-
Lee, Namjai;
;
(서양음악학= Journal of the musicological society of Korea,
v.22,
2019,
pp.113-150)
-
16.
- 시와 음악의 관계를 통한 프랑스 바로크 세속 칸타타의 연구 : 장 필립 라모(Jean Philippe Rameau)의 소프라노 칸타타를 중심으로
- 이효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ii, 251 p., 2007
-
17.
- 장 필립 라모의『화성론』(1722)에 나타난 사변 이론과 실제 이론의 상호 관계 연구 : 인용 네트워크 분석에 의해
- 이현주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xiv, 203 p., 2010
-
18.
- 라모세트론의 집단약동학 모형화
- 이성헌
-
Chonnam National University, 국내박사,
37 leaves, 2015
-
19
-
라모 모음곡의 융합적 청취- 바로크 음악의 과학적 패러다임
-
황순도;
동덕여자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3,
2021,
pp.121-142)
-
20
-
디드로의 『라모의 조카』에 나타나는 광기와 비이성
-
이충훈;
;
(프랑스고전문학연구,
v.20,
2017,
pp.193-22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