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동양의 인지와 재현 : 동양 여행과 『살랑보』를 중심으로
-
정지용;
상명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5,
pp.4-4)
-
12
-
모윤숙의 세계기행문 『내가 본 세상』 연구
-
송영순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5,
pp.221-248)
-
13
-
모윤숙의 세계기행문 『내가 본 세상』 연구
-
송영순;
성신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47,
2015,
pp.221-248)
-
14
-
동서양 고전에 나타난 사회개혁 의지와 유토피아건설: 『걸리버 여행기』와 『허생전』을 중심으로
-
신만철;
강원도립대학교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0,
pp.151-175)
-
15
-
А.П.Чехов: путешествие на Восток
-
Д. Капустин;
상명대학교;
(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,
v.0,
2005,
pp.37-58)
-
16
-
논픽션의 올바른 자리매김을 위한 시론
-
이승하;
중앙대학교;
(픽션과 논픽션,
v.1,
2019,
pp.7-28)
-
17.
- 동·서양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세계에 대한연구 :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/
- 김주희
-
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iv, 52 p., 2013
-
18
-
『산해경(山海經)』에 나타난 다문화 가치
-
김춘수;
대구가톨릭대학교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4,
pp.43-70)
-
19
-
루이제 린저의 동양 호기심과 ‘밝은 독재’ 국가 북한, 그리고 윤이상
-
김성보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23,
pp.225-248)
-
20
-
1929년, 아놀드 토인비가 바라본 동아시아의 근대도시
-
이영석;
광주대학교;
(영국연구,
v.0,
2018,
pp.181-20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