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한국 도덕윤리의 기초정립을 향하여 - 지능적 도덕교육에서 본능적 도덕교육으로
-
김형효;
;
(神學展望,
v.175,
2011,
pp.40-72)
-
12
-
김형효의 儒家・道家에 대한 이해와 그 비판
-
이상익;
부산교육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23,
pp.9-40)
-
13
-
심원 김형효의 유학에 대한 인식과 독법 연구
-
장승구;
세명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06,
pp.319-342)
-
14
-
‘문법’과 ‘문맥’ 사이 - 김형효 노장 해석학의 명암 -
-
박원재;
재 한국국학진흥원;
(동양철학,
v.0,
2015,
pp.369-387)
-
15
-
하이데거 전기 사상에 대한 유식학(唯識學)적 독법
-
김형효;
;
(하이데거연구,
v.6,
2001,
pp.55-105)
-
16
-
지성의 소유론에서 영성의 존재론에로 - 無와 무의식의 수행적 의미
-
김형효;
;
(西江人文論叢 = Humanities journal,
v.2007,
2007,
pp.254-270)
-
17
-
율곡 이이와 메를로-뽕띠
-
김형효;
;
(철학과 현상학 연구,
v.9,
1996,
pp.85-123)
-
18
-
21세기의 철학적 세상보기 - 동서사상의 理通事局論
-
김형효;
;
(동서사상,
v.1,
2006,
pp.141-160)
-
19
-
[논쟁]도구적 세상보기와 초탈적 세상보기 - 이승종 교수의 비판에 대한 답변
-
김형효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6,
2002,
pp.33-43)
-
20
-
Mobility, Locality and Identity of Korean in Modern Poetry : From the interpretation of poems from CHOI SUK, KIM HYONG HYO and VLADIMIR KIM
-
Yi, Myoung Hee;
;
(통일인문학 =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for unification,
v.78,
2019,
pp.255-27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