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20건 중 620건 출력
, 2/62 페이지
-
11
-
김준태의 시에 나타난 ‘통일 담론’
-
이상숙;
가천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9,
pp.511-536)
-
12
-
직업능력표준 활용패키지 개발현황
-
김준태;
;
(HRD Korea,
v.157,
2009,
pp.7-8)
-
13
-
상생 공간으로서의 ‘농촌’과 ‘고향정신’ - 김준태의 시를 중심으로
-
천유철;
단국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23,
2024,
pp.187-210)
-
14
-
金利變動의 非對稱性과 通貨政策의 效果
-
김준태;
;
(經濟 分析 = Economic analysis,
v.7,
2001,
pp.1-34)
-
15
-
사이버가정학습 학습주제별 콘텐츠 유형 적용 방안
-
김준태;
최혁준;
강신천;
;
(科學敎育 = Science education,
v.43,
2006,
pp.80-99)
-
16
-
전 디지탈 복조를 위한 다항식 보간필터의 해석 및 그 효율적 구현
-
김준태;
;
(Telecommunications review,
v.14,
2004,
pp.983-994)
-
17
-
당위적 통일론과 위계의 일상: 김준태와 하종오의 통일시를 중심으로
-
이상숙,;
;
(현대 북한 연구 = North Korean studies review,
v.22,
2019,
pp.232-270)
-
18
-
1970년대 시에 나타난 농촌의 형상과 의미—김준태와 이시영의 시를 중심으로
-
천유철;
경상국립대학교;
(한국문예창작,
v.24,
2025,
pp.45-66)
-
19
-
상생 공간으로서의 ‘농촌’과 ‘고향정신’ - 김준태의 시를 중심으로
-
;
;
(문학과환경,
v.23,
2024,
pp.187-210)
-
20
-
현실의 전위에 나선 시의 언어들 : 5·18광주항쟁 ‘현장’에서 그리고 ‘직후’에 창작한 김준태의 시를 중심으로
-
천유철;
한국외국어대학교 미네르바교양대학;
(기억과 전망,
v.0,
2024,
pp.10-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