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9건 중 139건 출력
, 2/14 페이지
-
11
-
하서 김인후의 소쇄원 48영 고
-
박명희;
;
(우리말글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5,
2002,
pp.263-286)
-
12
-
하서 김인후의 문학사상
-
구사회;
선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1989,
pp.307-328)
-
13
-
구전설화와 공간의 매개적 접근방식을 통해 살펴본 설화의 무형유산적 의미 - 하서 김인후 설화와 순창 훈몽재 관련 구술을 대상으로 -
-
이정훈;
무형유산정보연구소;
(문화와 융합 = Culture and convergence,
v.41,
2019,
pp.939-964)
-
14
-
하서 김인후의 도학과 성리학
-
이동희;
계명대학교;
(퇴계학논집,
v.0,
2011,
pp.139-167)
-
15
-
하서 김인후의 「천명도」구조와 성리학 연구
-
서경요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28,
2002,
pp.5-33)
-
16
-
김인후의 문예 의식과 그 시조문학의 성격
-
전재강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83,
2004,
pp.427-451)
-
17
-
A Study on the Literature Space of Nujeong Garden by Kim In-hoo
-
REN, YUNAN;
;
(한국어 교육 연구 =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,
v.20,
2023,
pp.257-282)
-
18
-
그리움의 분노 - 하서 김인후의 통곡과 유소사
-
김경호;
;
(한국인물사연구,
v.19,
2013,
pp.145-177)
-
19
-
하서 김인후 연구
-
권순열;
조선대학교;
(한국시가문화연구,
v.0,
2011,
pp.5-28)
-
20
-
Inner Consciousness in Drinking Poetry by Inhwoo Kim
-
Tak, Hyunsook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9,
2018,
pp.1157-117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