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앙드레 말로의 『정복자』에서 서사텍스트의 불연속적 구조와 노장철학 - 변화의 미학 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3,
pp.5-34)
-
12
-
기호의 놀이와 유추의 수사학 - 앙드레 말로의 『인간의 조건』에서 첸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5,
pp.73-96)
-
13
-
앙드레 말로의 인간의 조건 : 노장 철학에 따른 해체적 독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7,
pp.73-95)
-
14
-
A. 말로의 정복자에서 중국 사상의 정복-소설의 상징시학을 중심으로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5,
pp.59-92)
-
15
-
앙드레 말로의 인간의 조건 : 노장 철학에 따른 해체적 독서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7,
pp.73-95)
-
16
-
소설의 상징시학 I - 앙드레 말로의 『인간의 조건』을 중심으로 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22,
2002,
pp.121-143)
-
17
-
기호의 놀이와 유추의 수사학 - 앙드레 말로의 『인간의 조건』에서 첸이라는 인물을 중심으로 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5,
pp.73-96)
-
18
-
앙드레 말로의 「인간의 조건」: 노장 철학에 따른 해체적 독서 II* -페랄과 지조르를 중심으로-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8,
pp.103-136)
-
19
-
앙드레 말로의 ⟨정복자⟩에서 부조리와 노장철학에 대한 고찰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16,
pp.5-26)
-
20
-
앙드레 말로의 『희망』: 기독교와 혁명 ― 소설의 상징시학을 중심으로 ―
-
김웅권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불어불문학연구,
v.0,
2004,
pp.89-12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