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게르비누스의 『독일 민족문학사』 기술에 나타난 의미연관 연구
-
김완균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6,
pp.131-154)
-
12
-
문화의 개념과 이해에 관한 연구
-
김완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어교육,
v.33,
2005,
pp.385-407)
-
13
-
J.G. 헤르더의 '민족Nation' 개념 이해
-
김완균;
한국외대;
(독어교육,
v.39,
2007,
pp.183-207)
-
14
-
헤르더의 민족문학 연구
-
김완균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7,
pp.115-138)
-
15
-
『젊은 베르테르의 슬픔』에 나타난 주관성 연구
-
김완균;
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04,
pp.97-116)
-
16
-
헤르더의 인본주의적 민족사상 연구
-
김완균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15,
pp.243-268)
-
17
-
세계문학 - 개별성의 이해와 소통
-
김완균;
대전대학교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22,
pp.5-25)
-
18
-
헤르더의 인류학적 인식론 연구
-
김완균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44,
2013,
pp.211-230)
-
19
-
『젊은 베르테르의 슬픔』에 나타난 주관성 연구
-
김완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독일언어문학,
v.0,
2004,
pp.97-116)
-
20
-
헤르더의 역사적 이해 방식 연구 -감정이입 이론을 중심으로-
-
김완균;
한국외대;
(독어교육,
v.32,
2005,
pp.305-32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