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억압에서 해방으로: 춤과 몸
-
김말복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16,
2005,
pp.29-62)
-
12
-
무용미학의 논의를 위한 들뢰즈(G. Deleuze)사상의 수용 가능성 - Pina Bausch 작품에 나타난 ‘기관 없는 신체’를 중심으로 -
-
김말복;
나일화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25,
2008,
pp.1-31)
-
13
-
20세기 초엽 독일 현대춤에 나타난 실존적 의미와 해석
-
김말복;
이지원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47,
2014,
pp.21-54)
-
14
-
포스트모던 댄스에 나타난 비표현(anti-expression)에 관한 논의-이본느 레이너의 「트리오 A」(1966)를 중심으로
-
이지선;
김말복;
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73,
2015,
pp.109-132)
-
15
-
마야 데렌(M. Deren)의 댄스 필름에 나타난 신체 미지에 관한 연구 질 들뢰즈(G. Deleuze)의 이미지론을 중심으로 -
-
나일화;
김말복;
이화여자대학교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39,
2012,
pp.47-70)
-
16
-
춤을 통해본 한국적 움직임커뮤니케이션의 특성
-
김말복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18,
2006,
pp.1-28)
-
17
-
무용예술에서 카타르시스, 라사, 신명 비교 논의 -미적경험의 메커니즘을 중심으로-
-
김말복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41,
2013,
pp.1-30)
-
18
-
21세기 춤 환경과 국립 무용단의 창작 방향
-
김말복;
이화여자대학교;
(무용예술학연구,
v.12,
2003,
pp.21-52)
-
19
-
춤추는 주체의 마이너리티 논의-육체와 욕망 그리고 시간의 경계로부터의 탈주-
-
김말복;
이지원;
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73,
2015,
pp.1-20)
-
20
-
현대춤에 나타난 디지털 융합 양상과 특성 연구
-
이지선;
김말복;
;
(대한무용학회 논문집,
v.74,
2016,
pp.163-1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