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207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근대 중국 여성의 직업세계
-
千聖林;
;
(東洋史學硏究 = Journal of Asian historical studies,
v.96,
2006,
pp.103-148)
-
12
-
근대적 글쓰기 공간으로서 여성 잡지 : 근대 초기 여성 잡지의 실태와 양상 조사
-
이근화;
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/ Yeungnam uni.;
(한국근대문학연구,
v.19,
2018,
pp.107-128)
-
13
-
『무정』에 나타난 근대 여성 공간의 성격
-
곽영미;
노상래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51,
2007,
pp.547-582)
-
14
-
근대정치사상에서의 여성과 자연 : 정치사상의 탈젠더화와 생태여성주의
-
박의경;
;
(Oughtopia : The Journal of Social Paradigm Studies,
v.25,
2010,
pp.155-187)
-
15
-
한국의 식민지 근대체험과 여성공간 - 여성주의 문화론적 접근을 위하여
-
태혜숙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0,
2004,
pp.33-56)
-
16
-
여성농악단을 통해 본 근대 연예농악의 양상
-
권은영;
;
(실천민속학연구,
v.11,
2008,
pp.197-228)
-
17
-
김명순 소설에 나타난 근대여성에 대한 시선
-
박산향;
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인문사회과학연구 :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,
v.18,
2017,
pp.157-179)
-
18
-
김윤선, 근대를 사랑한 신여성, 근대에게 버림받은 신여성–『여성의 근대, 근대의 여성』(김경일지음, 푸른역사, 2004)
-
김윤선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495-503)
-
19
-
근대 대중사회에서 여성시학의 현재적 진단과 전망
-
김용희;
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9,
2003,
pp.220-243)
-
20
-
이상(理想)과 일상(日常) 사이, 근대계몽기 신문 수록 시가(詩歌)와 근대적 여성의 형성
-
박선영;
청운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 = Jorunal of Korean literary criticism,
v.51,
2016,
pp.71-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