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20세기 초 활자본 고소설 연구의 지평과 전망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3,
pp.43-78)
-
12
-
흥부전의 현대적 수용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판소리연구,
v.0,
2010,
pp.5-34)
-
13
-
대학 고전소설교육의 지향과 방법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07,
pp.27-58)
-
14
-
抗日義兵의 문학적 형상화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05,
pp.131-156)
-
15
-
⟨콩쥐팥쥐⟩ 서사의 문학치료학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문학치료연구,
v.30,
2014,
pp.43-72)
-
16
-
중학교 고전소설 교육의 지향과 방법- ‘환상성’과 ‘상호소통성’을 중심으로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반교어문연구,
v.0,
2006,
pp.395-418)
-
17
-
전래동화 ⟨콩쥐 팥쥐⟩의 형성과정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3,
pp.110-141)
-
18
-
⟨콩쥐팥쥐전⟩의 형성과정 재고찰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12,
pp.251-283)
-
19
-
⟨박달재 전설⟩의 형성과 ⟨울고 넘는 박달재⟩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4,
pp.39-69)
-
20
-
徐花潭에 관한 ‘이야기 만들기’와 「서화담전」의 형성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민족문화,
v.48,
2016,
pp.113-1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