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54건 중 654건 출력
, 2/66 페이지
-
11
-
야당의 의회 장악력, 지도자의 재임시점 그리고 청중비용: 2016-2022년 동안의 미국 행정부의 군사위협 신뢰성 예측
-
김지용;
해군사관학교;
(국방연구,
v.62,
2019,
pp.63-92)
-
12.
- 북한 수령의 후계에 대한 인식이 후계자의 위협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: 김정일과 김정은 집권 이후 군사활동 비교를 중심으로
- 황소희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30 p., 2024
-
13
-
중국의 대외위기관리 양상은 어떻게 분화하는가? -권위주의 국가의 최고지도자 대외위기관리 유형에 따른 탐색적 시론
-
박근찬;
하남석;
한국외국어대학교;
서울시립대학교;
(도시인문학연구,
v.17,
2025,
pp.233-272)
-
14
-
전쟁결정에 있어서 민ㆍ군지도자들의 태도
-
李宗宣;
;
(한국정치학회보= Korean political science review,
v.26,
1993,
pp.277-296)
-
15
-
위협하는 평양인가, 두려워하는 평양인가?: 북한의 도발과 평판 형성
-
마월;
구본윤;
연세대학교 정치학과;
육군3사관학교 정치외교학과;
(현대북한연구,
v.27,
2024,
pp.338-373)
-
16
-
강화도에서 이동휘의 계몽운동
-
이기훈;
목포대학교;
(『도서문화』,
v.0,
2009,
pp.259-288)
-
17.
- 중국의 당군관계와 장교교육제도 변화의 상관성 연구 : 역사적 제도주의 시각을 중심으로
- 이두형
-
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, 국내박사,
x, 276, 343 p., 2012
-
18
-
호금도 시대 중국의 당-군 관계 전망
-
김태호;
한림대학교;
(중소연구,
v.27,
2004,
pp.45-77)
-
19.
- 억제자의 역할 관점에서 본 북한의 대남도발 결정요인 연구
- 박정범
-
대전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71, 2015
-
20
-
시진핑-푸틴 집권기 중러관계의 신추세에 관한 연구 : 경제 및 군사안보협력을 중심으로
-
김재관;
전남대학교;
(중소연구,
v.44,
2021,
pp.233-2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