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退溪 李滉의 言行論에 대한 考察 - 『東學』關聯 書冊을 中心으로 -
-
李貞和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46,
2005,
pp.235-252)
-
12
-
칸트의 관계적 자율성 - 『도덕형이상학』의 「덕론」을 중심으로
-
김덕수;
;
(철학논총,
v.70,
2012,
pp.197-227)
-
13.
- 중국 대학생의 덕육(德育) 실천 방안 : 《소학》의 사상을 중심으로
- 서고첩
-
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147, 2025
-
14
-
숭고의 미학과 도덕교육
-
윤영돈;
인천대학교;
(윤리연구,
v.1,
2016,
pp.31-49)
-
15.
- 咳嗽에 관한 醫史學的 硏究 : 溫補學派의 咳嗽論을 中心으로
- 정동혁
-
圓光大學校, 국내박사,
iii, 72장, 2011
-
16
-
淸・世祖의 ≪御定內則衍義≫와 女誡書로서의 평가
-
강현경;
대전대학교;
(동아인문학,
v.0,
2010,
pp.79-104)
-
17
-
허탁운 ≪만고강하≫ 간체 중국판의 삭제와 변경
-
이인호;
한양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2,
pp.185-216)
-
18
-
朝鮮時代 刊行의 『禪林寶訓』에 관한 硏究
-
박문열;
청주대학교;
(서지학연구,
v.0,
2018,
pp.63-82)
-
19.
- 행동주의 교육학에 대한 칸트주의적 비판
- 이신성
-
충북대학교, 국내석사,
viii,181 p., 202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