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중학교 미술과 논술평가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
-
고황경;
계남중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3,
pp.1-35)
-
12
-
Web Portfolio를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수행평가 연구
-
고황경;
이동중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05,
pp.1-36)
-
13
-
중학교 미술과와 수학과의 융합인재교육(STEAM) 교수·학습방법 개발 및 적용 연구
-
고황경;
김재원;
계남중학교;
계남중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3,
pp.1-27)
-
14
-
여성 피아니스트 고봉경(高鳳京, 1906~?)의 음악 활동과 삶의 배경
-
조윤영;
이화여자대학교;
(音.樂.學,
v.32,
2024,
pp.33-67)
-
15
-
한국 표준색이름 체계 개편에 따른 초.중등학교 색채 교수.학습 방법 연구
-
이주연;
박명원;
고황경;
경인교육대학교;
홍익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08,
pp.385-448)
-
16
-
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교육의 내용 및 방향 - ‘동시대 미술’, ‘지역사회 연계 미술(공공미술)’, ‘미술 감상·미술관교육’에 대한 전문가 자문 내용을 중심으로-
-
류지영;
이주연;
고황경;
춘천교육대학교;
경인교육대학교;
중흥중학교;
(미술교육연구논총,
v.60,
2020,
pp.1-34)
-
17
-
1950년대 말 아시아재단 서울지부의연구 지원 사례연구
-
심혜경;
순천향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8,
pp.155-188)
-
18
-
韓國에 있어 女性의 雇傭問題
-
高황京;
鄭珍英;
;
(農村發展硏究叢書,
v.4,
1980,
pp.1-12)
-
19
-
Web Portfolio를 활용한 중학교 미술과 수행평가 연구
-
고황경;
이동중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05,
pp.1-36)
-
20
-
중학교 미술과 논술평가 자료 개발 및 적용 연구
-
고황경;
계남중학교;
(조형교육,
v.0,
2013,
pp.1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