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5건 중 105건 출력
, 2/11 페이지
-
11.
- 한국 전후시의 그로테스크 시학연구 : 박인환, 고석규, 전봉건을 중심으로
- 박슬기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85 p., 2004
-
12.
- 고석규와 김종길 비평의 해석학적 연구 : 영미 신비평의 주체적 수용을 중심으로
- 박현익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, 173p, 2024
-
13
-
1950년대 고석규 시 연구
-
하상일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8,
2004,
pp.359-379)
-
14
-
A Study on the Stylistics of Ko Seok-gyu's Criticism - In the Context of 1950s' Stylistics -
-
Park, Hyun-Ik;
;
(어문논집=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102,
2024,
pp.263-286)
-
15
-
고석규 비평의 문체론 연구 - 1950년대 문체론의 맥락에서 -
-
박현익;
오산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24,
pp.263-286)
-
16
-
근대도시 목포의 역사경관과 문화
-
고석규;
;
(건축역사연구 :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=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,
v.16,
2007,
pp.167-181)
-
17
-
고석규 비평에 나타난 애도 비평의 (불)가능성과 1930년대 시 담론의 흔적
-
강민호;
서울대학교;
(어문연구,
v.115,
2023,
pp.133-160)
-
18
-
[서평]한국 도시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 - 『근대도시 목포의 역사·공간·문화』(고석규, 서울대학교출판부, 2004) -
-
장규식;
;
(역사와 현실,
v.56,
2005,
pp.353-361)
-
19.
- 고석규의 공포와 죽음의 시학
- 정원숙
-
강원대학교, 국내박사,
200 p., 2016
-
20
-
A Study on the ‘Margin’ and ‘Absence’ of Korean Poetry in the 1950s
-
Lim, Kyung-seop;
;
(國際語文 =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international context,
v.77,
2018,
pp.257-28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