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1건 중 1,000건 출력
, 2/100 페이지
-
11
-
중국 세계물류센터 '양산항' 12월10일 개항
-
한국선주협회;
한국선주협회;
(해운,
v.2005,
2005,
pp.38-39)
-
12
-
개항 후 초량 사람들과 근대 공간의 형성
-
양흥숙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2,
2012,
pp.211-249)
-
13.
- 개항 전후 이건창의 대외인식과 해방론
- 백외준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55장, 2012
-
14
-
개항 이전 한국 지도의 형태 변천
-
김재완;
서원대학교;
(한국지역지리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,
v.10,
2004,
pp.682-688)
-
15
-
最近世(開港~)
-
李培鎔;
;
(歷史 學報,
v.140,
1993,
pp.153-202)
-
16
-
목포의 海港性과 개항장 형성과정의 특징
-
최성환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1,
2011,
pp.165-193)
-
17
-
最近世(開港~)
-
朴贊勝;
;
(歷史 學報,
v.159,
1998,
pp.116-132)
-
18
-
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
-
송정숙;
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;
(한국기록관리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,
v.11,
2011,
pp.273-298)
-
19
-
개항질서법상 항법적용
-
지상원;
한국해양대학교;
(한국항해항만학회지,
v.28,
2004,
pp.359-364)
-
20.
- 開港期 外交文書 硏究
- 박준영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xii, 254 p.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