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강원 영동지역 백자의 재료과학적 특성 연구: 강릉 남양리 백자가마터와 동해 발한동2(사문동) 가마터를 중심으로
-
이병훈;
소명기;
(재)강원문화재연구소;
강원대학교 나노응용공학과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31,
2015,
pp.181-192)
-
12
-
발굴 출토 화살다발 제작기법 연구 및 보존처리
-
이병훈;
최보배;
허일권;
강원도문화재연구소;
수도국산달동네박물관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25,
2021,
pp.9-26)
-
13
-
고대와 현대 방짜수저의 균열발생 원인분석
-
최병학;
이범규;
심종헌;
고형순;
조남철;
이재성;
박경균;
김유찬;
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;
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;
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;
강원문화재연구소;
공주대학교;
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;
참방짜;
참방짜;
(한국재료학회지 =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,
v.26,
2016,
pp.528-534)
-
14
-
자력센서와 IoT(사물인터넷)를 활용한 흰개미 모니터링 방법 연구
-
고형순;
최병학;
강원도문화재연구소 보존관리팀;
강릉원주대학교 신소재금속공학과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4,
2021,
pp.206-219)
-
15
-
羅末麗初期 강원지방 평기와 연구
-
박동호;
강원문화재연구소;
(선사와 고대,
v.0,
2011,
pp.249-277)
-
16
-
대기압 플라즈마 제트 시스템을 이용한 문화재 내 세균류 및 진균류의 살균
-
조성일;
박동민;
이병훈;
소명기;
하석진;
정구환;
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생물공학과;
강원도문화재연구소;
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생물공학과;
강원대학교 대학원 신소재공학과;
(한국표면공학회지 =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,
v.53,
2020,
pp.285-292)
-
17
-
국가지정 목조건축문화재의흰개미(R. speratus kyushuensis) 피해 현황 분석
-
김시현;
정용재;
국립문화재연구원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5,
2022,
pp.102-111)
-
18
-
각형토기문화유형의 연구
-
최종모;
김권중;
홍주희;
강원문화재연구소;
강원문화재연구소;
강원문화재연구소;
(야외고고학,
v.0,
2006,
pp.73-114)
-
19
-
원주 송호동 후기구석기 유적의 기능과 밀개 연구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백산학보,
v.0,
2016,
pp.5-30)
-
20
-
후기 구석기시대 ‘쐐기(pièce esquillée)’의 형태와 기능에 대한 試論
-
최승엽;
강원문화재연구소;
(백산학보,
v.0,
2015,
pp.5-3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