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조선사회의 유교적 변환과 그 이면: 귀신과 제사공동체
-
강상순;
;
(역사민속학,
v.0,
2016,
pp.101-132)
-
12
-
Dithiolo-thione 계열 유도체 SWU-20009의 Akt활성 저해 효과
-
고종희;
연승우;
이홍섭;
김태용;
노동윤;
신경순;
홍순광;
강상순;
일동제약주식회사 중앙연구소;
일동제약주식회사 중앙연구소;
일동제약주식회사 중앙연구소;
일동제약주식회사 중앙연구소;
서울여자대학교 화학과;
서울여자대학교 화학과;
명지대학교 생물학과;
충북대학교 과학교육과;
(약학회지 = Yakhak hoeji,
v.48,
2004,
pp.105-110)
-
13
-
조선 전기 패설류 필기에 재현된 사랑과 그 담론화 방식
-
강상순;
;
(고전과 해석,
v.8,
2010,
pp.355-391)
-
14
-
성리학적 귀신론의 틈새와 귀신의 귀환-조선 전·중기 필기·야담류의 귀신이야기를 중심으로-
-
강상순;
;
(고전과 해석,
v.9,
2010,
pp.195-226)
-
15
-
김시습과 성현의 귀신 담론과 원귀 인식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4,
pp.9-45)
-
16
-
방선균 유래 이차대사 생합성 유전자 분석용 DNA Microarray 제작 및 해석
-
남수정;
강대경;
이기형;
김종희;
강상순;
장용근;
홍순광;
명지대학교 생명과학과;
주)이지바이오시스템 중앙연구소;
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;
명지대학교 생명과학과;
충북대학교 과학교육과;
한국과학기술원 생명화학공학과;
명지대학교 생명과학과;
(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= 미생물학회지,
v.41,
2005,
pp.105-111)
-
17
-
한국 고전소설 속 중국 배경과 중국 인식
-
강상순;
;
(고전과 해석,
v.15,
2013,
pp.107-139)
-
18
-
조선시대의 역병 인식과 신이적 상상세계
-
강상순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日本學硏究,
v.46,
2015,
pp.69-97)
-
19
-
조선 전기 귀신 이야기에 잠복된 사회적 적대
-
강상순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2,
pp.97-136)
-
20
-
『한국문학통사』 다시 읽기 -고전문학사 서술의 지표와 이론-
-
강상순;
고려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05,
pp.3-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