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어랑타령과 아라리의 비교연구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3,
1995,
pp.62-91)
-
12
-
정선(旌善) 아라리의 전승가사(傳承歌詞)와 구연(口演)의 두 양상(樣相)
-
강등학;
;
(국어국문학,
v.96,
1986,
pp.159-182)
-
13
-
민요보고서의 노래명 부여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,
1994,
pp.1-35)
-
14
-
강원도 〈논매는소리〉의 기초적 분석과 지역적 판도
-
강등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53,
2011,
pp.7-35)
-
15
-
21세기 민속학의 과제와 전망
-
강등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40,
2004,
pp.25-40)
-
16
-
자진아라리의 분포와 장르양상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;
(韓國民俗學= The Korean folklore,
v.39,
2004,
pp.23-60)
-
17
-
한국의 민요연구 역사와 문제의식의 추이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27,
2009,
pp.37-82)
-
18
-
노래론을 위한 문학론과 음악론의 문제
-
강등학;
;
(韓國音樂硏究,
v.26,
1997,
pp.5-20)
-
19
-
〈땅다지는소리〉의 지역적 판도와 노동요적 성격에 관한 연구
-
강등학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18,
2006,
pp.49-91)
-
20
-
아리랑 문화사의 중심, 서울시의 아리랑문화 발전과제
-
Kang, Deung-hag;
;
(韓國民謠學 = The Korean folk song,
v.40,
2014,
pp.7-3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