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16~17세기 古今島 인근 海路와 水軍鎭의 설치
-
김경옥;
;
(島嶼文化,
v.33,
2009,
pp.171-201)
-
12
-
400 GeV/c PP碰撞的阶乘关联子数据 *
-
张
, 杰;
肖, 臣国
;
王, 韶舜;
叶
, 云秀;
李, 祖豪;
;
(中國科學. Science in China. Series A. A輯. 數學,
v.26,
1996,
pp.558-564)
-
13
-
朝鮮式 漢文의 문체적 특징에 대한 小考 -임진왜란 시기 狀啓를 중심으로-
-
박선이;
;
(태동고전연구,
v.36,
2016,
pp.73-111)
-
14
-
A Study o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about Tongjeyeong or Naval Control Headquarters in Hansan Islan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against Korea: Focusing on Historical Materials
-
;
;
(泰東古典硏究 = Tae-dong review of classics,
v.52,
2024,
pp.183-211)
-
15
-
The image of Yi Sun-sin in a Japanese newspaper serial novel at the time of the Sino-Japanese War ─ Focusing on 『the Conquest of the Joseon』 and 『The Wind Blowing Yellow Sand sequel』─
-
Kim, Joonbae;
;
(日本學硏究 = Japanese studies,
v.54,
2018,
pp.367-389)
-
16.
- 조선 후기 統營 忠烈祠의 방문자와 享祀 주체 : 충렬사 소장 『尋院錄』의 분석을 중심으로
- 김용재
-
경상국립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ⅲ, 43 p., 2023
-
17
-
朝鮮時代 從政圖 놀이의 향유와 관련 詩文들에 대한 고찰
-
;
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4,
pp.27-60)
-
18
-
명량해전 직전 조선 수군의 폐지 문제에 대한 재검토
-
이종화;
건양대학교;
(한국군사학논집,
v.77,
2021,
pp.361-382)
-
19
-
全羅左水營의 水塲과 鯈魚의 意味
-
정현창;
조미선;
전남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;
여수지역사회연구소;
(지방사와 지방문화,
v.23,
2020,
pp.191-231)
-
20
-
조선시대 동아시아 삼국의 濟州島 인식 -임진왜란을 중심으로-
-
이규배;
탐라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1,
pp.425-4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