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8건 중 138건 출력
, 2/14 페이지
-
11
-
入關 前後 淸과 朝鮮의 通婚과 侍女 問題
-
김선혜;
숙명여자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14,
pp.231-265)
-
12
-
≪中朝學士書翰≫의 자료 가치에 대한 管見
-
강찬수;
고려대학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09,
pp.221-244)
-
13
-
滿鮮史와 日本史의 위상 -稻葉岩吉의 연구를 중심으로-
-
정상우;
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韓國史學史學報,
v.0,
2013,
pp.321-355)
-
14
-
‘식민지 고고학’과 하마다 고사쿠(濱田耕作)의 시선
-
전성곤;
고려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1,
pp.603-623)
-
15
-
朝鮮出版本 中國古典小說의 서지학적 考察
-
민관동;
경희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3,
pp.177-207)
-
16
-
《水滸傳》在古代朝鮮的傳播和影響
-
정옥근;
동의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1997,
pp.95-117)
-
17.
- 17·18세기 조선의 明代 唐宋派 수용양상 연구
- 정광휘
-
釜山大學校, 국내석사,
i, 94장, 2009
-
18
-
중국의 근대조선인식, 그 임계점의 문예형상화 ― 중국현대소설의 조선인형상에 대한 一考
-
김경석;
경희대학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11,
pp.147-166)
-
19.
- 古文尙書에 대한 朝鮮時代 학자들의 認識과 考辨
- 陳亦伶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ii, 227 p., 2016
-
20.
- 한국 고전 시가에 나타나는 도연명 : 조선시대 시조·가사를 중심으로
- 항몽열
-
중부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, 국내박사,
233, 202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