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11
-
초기 대동아공영권(大東亞共榮圈) 구상에 관한 일고찰 -1868년부터 1910년까지-
-
채수도;
경북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0,
pp.467-484)
-
12
-
우메자키 하루오 문학과 전쟁 -『사쿠라지마(櫻島)』를중심으로-
-
노영희;
;
(일어일문학연구,
v.68,
2009,
pp.89-103)
-
13
-
豊臣政權期에 있어서 자연재해와 대외관계 —地震과 水害를 중심으로—
-
김문자;
상명대학교;
(일본연구,
v.0,
2010,
pp.413-437)
-
14.
- 일제강점기 한반도 간행 궁(弓) 도서를 통한 조선·일본 궁술의 비교 연구 : 吉田英三郞의 (增訂)弓矢義解를 중심으로
- 이헌정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49장, 2016
-
15.
- 조선사절과 일본문인들의 唱酬·筆談 연구 : 『航海献[실은 獻]酬録』을 중심으로
- 전란
-
목포대학교, 국내석사,
iv, 70장, 2008
-
16.
- 翁信仰の生成と渡來文化
- 김현욱
-
東京大學大學院, 국외박사,
150p., 2005
-
17.
- 공지영의 『우리들의 행복한 시간』을 중심으로 살펴 본 한일번역 에서 나타난 등가 양상에 대한 고찰
- 김지향
-
부산외국어대학교, 국내석사,
92 p., 2011
-
18
-
大正デモクラシの家と主論
-
이수열;
한국해양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07,
pp.379-390)
-
19
-
『長生竹島記』의 戯文 ― 송도와 죽도를 지나는 기타마에부네(北前船) ―
-
권혁성;
;
(日本語敎育,
v.0,
2014,
pp.245-264)
-
20.
- 후쿠자와 유키치의 아동교육론
- 이제연
-
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84 p., 20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