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066건 중 1,000건 출력
, 19/100 페이지
-
181.
- 한국 현대시의 풍자성 연구
- 유병관
-
성균관대학교, 국내박사,
160 p., 1997
-
182
-
한국 현대시의 해체적 상상력 - 박제천의 「莊子詩」를 중심으로
-
이지순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06,
2006,
pp.123-143)
-
183.
-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'밤' 이미지 연구 : 이상화, 심훈, 윤동주의 시를 중심으로
- 김선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95p., 2008
-
184
-
과정 중심 통합형 개인 성장 모형 기반의 한국 현대시 교육 -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중심으로-
-
박현정;
숙명여자대학교;
(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,
v.68,
2023,
pp.31-69)
-
185
-
한국전쟁 전후 현대시의 국어교과서 정전화(正典化) 과정 연구
-
박용찬;
;
(語文學 : 한국어문학회 =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91,
2006,
pp.413-435)
-
186.
-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자연관 연구 : 박남수, 이형기, 박재삼을 중심으로
- 박미정
-
신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59 p., 2006
-
187.
-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차의 미학 연구
- 조미호
-
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p265, 2019
-
188
-
한국현대시의 ‘방(房)’상징 연구 - 윤동주, 이육사, 심연수의 시를 중심으로
-
Jo,Dong-Goo,;
;
(동북아문화연구 = Journal of north-east asian cultures,
v.33,
2012,
pp.281-299)
-
189.
- 한국 현대시의 허무의식 연구 : 유치환, 박인환, 이형기, 강은교를 중심으로
- 이재훈
-
중앙대학교, 국내박사,
192 p., 2007
-
190
-
A Study on the Communication Education of University Using Classics and Modern Poetry
-
Lee, Yeon-Seung;
;
(교양학연구 =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,
v.9,
2019,
pp.151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