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70건 중 270건 출력
, 19/27 페이지
-
181
-
대만의 한국학 연구 상황과 미래 전망
-
曾天富;
臺灣 東吳大學;
(한국학연구,
v.0,
2021,
pp.333-355)
-
182
-
일제강점기 마산지역 일본불교의 활동과 마산포교당의 대응에 관한 고찰
-
김성순;
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1,
pp.295-318)
-
183.
- 이승만의 기독교네트워크와 미국에서의 정치외교활동, 1904-1954
- 유지윤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82 p., 2022
-
184.
- 조소앙의 헌법사상 연구 : 민주공화제 구상과 '삼균주의'를 중심으로
- 이지영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91 p., 2021
-
185.
- 한국에서의 W. B. 예이츠 연구 경향 : 자아 갈등과 민족 주의
- 박찬희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55 p., 2017
-
186
-
태평양전쟁 시기 기독교인친한회(基督敎人親韓會)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승인 운동
-
박명수;
서울신학대학교;
(한국독립운동사연구,
v.0,
2019,
pp.237-281)
-
187.
- 신홍식의 생애와 민족 목회 활동에 관한 연구
- 고성은
-
호서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365 p., 2012
-
188
-
개항 이후 초기 한미관계와 선교사의 역할 - 알렌과 헐버트를 중심으로
-
박응규;
아신대학교;
(복음과 선교,
v.65,
2024,
pp.89-144)
-
189
-
농지개혁의 사상적 배경
-
이호;
건국대학교;
(시민정치연구,
v.0,
2022,
pp.129-158)
-
190.
- 근대역사경관의 논쟁을 활용한 통합사회 교육 방안 : 포항 구룡포 지역을 사례로
- 천하은
-
한국교원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ⅹ, 145, 202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