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19/19 페이지
-
181
-
부채(負債)의 공동체와 피와 땀의 알레고리-식민지 조선의 ‘유적보존운동’을 통해서 본 상품, 알레고리, 그리고 삶
-
김수림;
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0,
pp.304-341)
-
182
-
시의 폭: 신석초와 뽈 발레리와의 영향관계
-
김형필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1996,
pp.3-31)
-
183
-
洪大容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
-
최식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동방한문학,
v.0,
2019,
pp.199-222)
-
184
-
‘실학實學’ 개념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에 관한 연구
-
강정훈;
한경대학교;
(윤리연구,
v.1,
2013,
pp.103-122)
-
185
-
강화학파(江華學派) 역학사상의 전개 양상 연구(Ⅱ) - 석천(石泉) 신작(申綽) 역학사상의 훈고적(訓詁的) 특징
-
서근식;
성균관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51,
2023,
pp.337-362)
-
186
-
단재 신채호의 국권회복을 향한 사상과 행동 - 소크라테스형 지식인의 한 예
-
정윤재;
;
(동양정치사상사,
v.1,
2002,
pp.113-135)
-
187.
- 단재 신채호의 역사연구와 단군민족주의
- 신관철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ii, 201 p., 2022
-
188.
- 『王陽明先生實記』를 통해서 본 朴殷植의 陽明學觀
- 김용구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271 p., 201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