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94건 중 194건 출력
, 19/20 페이지
-
181
-
상속과애도, 노인문제를 바라보는새로운관점 정립을위한시론: 「동경」, 「흔적」의 노인 묘사를 중심으로
-
최성윤;
신한대학교 리나시타교양대학 조교수;
(스토리앤이미지텔링,
v.0,
2024,
pp.169-189)
-
182
-
5·18 소설의 정치미학 연구 - 랑시에르의 문학의 정치에 바탕해
-
양진영;
서강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4,
2020,
pp.41-67)
-
183
-
소설을 활용한 5⋅18 시민 주체 학습
-
김한종;
문서영;
한국교원대학교;
한국교원대학교;
(청람사학,
v.36,
2022,
pp.99-150)
-
184
-
기억의 메타포: 5ㆍ18소설의 서사적 전략
-
임세진;
건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22,
pp.449-479)
-
185
-
소설이 ‘오월-죽음’을 사유하는 방식: 한강의 '소년이 온다'를 중심으로
-
최윤경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16,
2016,
pp.173-197)
-
186.
- 광주민중항쟁의 소설적 형상화에 대한 일 연구
- 김남옥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54p., 2003
-
187.
-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의 아버지 양상 연구
- 김학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76 p., 2020
-
188.
- 성(城)이 의미하는 것 또는 아무것도 아닌 것
- 함정임
-
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, 국내석사,
81p., 2004
-
189.
- 현대소설에 나타난 분단콤플렉스 연구
- 안남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25p., 2002
-
190.
- 광주민중항쟁의 소설적 형상화에 관한 일 연구
- 김남옥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54 p., 20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