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7건 중 207건 출력
, 19/21 페이지
-
181.
- 조선 태조∼태종대 정치와 정치세력
- 김윤주
-
서울시립대학교, 국내박사,
, 2011
-
182
-
하서 김인후의 「천명도」구조와 성리학 연구
-
서경요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28,
2002,
pp.5-33)
-
183
-
『入學圖說』을 통해 본 權近의 性理學
-
정대환;
전북대학교;
(범한철학,
v.0,
2002,
pp.85-108)
-
184
-
고려말 조선초 성리학(性理學) 주요 개념의 이해의 추이
-
권오영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포은학연구,
v.27,
2021,
pp.165-205)
-
185
-
湖西儒學의 展開樣相과 特性
-
황의동;
충남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16,
2003,
pp.7-258)
-
186.
- 紹修書院 설립 시기 榮州地域 學脈과 文學에 대한 硏究
- 김장환
-
경북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76 p, 2018
-
187
-
퇴계 『논어석의論語釋義』의 편찬 의도와 성격 - 『논어석의』
-
조지형,;
;
(국학연구,
v.19,
2011,
pp.253-275)
-
188
-
고려후기 한시에 나타난 새의 이미지와 문학적 의미
-
하정승;
한림대학교;
(동방한문학,
v.0,
2014,
pp.7-54)
-
189
-
『삼국유사』 「고조선」조의 古記論
-
김성환;
경기도박물관;
(선사와 고대,
v.0,
2022,
pp.5-40)
-
190
-
청대(淸代) 요서(遼西) 지역 민가(民家)에 대한 조선 지식인의 시각 - 조선 후기 사행록(使行錄)을 중심으로 -
-
김지현;
광운대학교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,
v.23,
2019,
pp.11-3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