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18/19 페이지
-
171
-
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 소장 위당문고 자료의 성격과 가치(1) - <여유당집(與猶堂集)>과 <담헌서(湛軒書)>를 중심으로
-
임미정;
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;
(동방학지,
v.0,
2021,
pp.209-235)
-
172
-
‘식민지 국학’의 학제(制·際)적 위치 - 국문학, 조선문학, 동양학, 그리고 한학
-
이용범;
부산대학교 점필재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2,
pp.61-87)
-
173
-
일제강점기 실학자 저작의 출간과 조선학운동
-
장순순;
전주대학교 한국고전학연구소;
(역사연구,
v.0,
2022,
pp.55-87)
-
174
-
耕齋 李建昇의 亡命 前後 梅花詩 變化 樣相 硏究
-
이은영;
성균관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47,
2017,
pp.187-212)
-
175
-
'실학實學' 개념의 적합성 또는 부적합성에 관한 연구
-
강정훈;
한경대학교;
(倫理硏究 = Journal of ethics,
v.88,
2013,
pp.103-122)
-
176
-
吾堂 姜東曦의 實事的 삶과 시세계
-
김규선;
선문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1,
pp.87-112)
-
177
-
효당(曉堂) 김문옥(金文鈺)의 생애(生涯)와 교유(交遊)
-
김용진;
전남대학교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66,
2023,
pp.25-46)
-
178
-
于亭 成煥赫의 생애와 문학의 성취
-
김종진;
동방한학연구원;
(南冥學硏究,
v.0,
2021,
pp.235-277)
-
179
-
‘연암(燕巖)’이라는 고전의 형성과 그 기원(1)-19세기-20세기 초 연암 박지원이 소환되는 방식을 중심으로
-
김남이;
부산대학교;
(어문연구,
v.58,
2008,
pp.181-200)
-
180
-
‘변한과 가야’ 연구의 동향과 과제
-
문창로;
국민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18,
pp.41-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