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,269건 중 1,000건 출력
, 18/100 페이지
-
171
-
1950년대 양악작곡가들이 상상한 국민음악: ‘국민’과 ‘민족’ 사이에서
-
김은영;
중앙대학교;
(음악과 현실,
v.0,
2019,
pp.85-114)
-
172
-
로컬의 제스처와 전통의 현재화: 한국 창작음악에서 작곡가 강준일의 의미
-
이희경;
이화여자대학교;
(음악과 현실,
v.0,
2015,
pp.199-230)
-
173
-
배음렬 작곡가 트리스탄 뮤라이의 초기 음악들 -연속성과 변형, 그리고 절차로서의 음악-
-
김진호;
안동대학교;
(프랑스학연구,
v.0,
2008,
pp.135-160)
-
174
-
중국 작곡가 조원임의 예술가곡 ‘비를 듣다(听雨)’의 가창 방법 연구
-
사근;
강란;
ZheJiang Normal University;
ZheJiang Normal University;
(음악교육공학,
v.0,
2024,
pp.199-221)
-
175.
- 초등학교 5학년을 위한 음악창작 프로그램 「꼬마작곡가」 :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
- 이문주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3p., 2005
-
176
-
동시대 한국 창작음악에서의 이중문화적 악기편성에 관하여: 작곡가 구본우의 《가깝고/먼》(1998)과 《앙상블 cmek를 위한 디베르티멘토》(2006)를 중심으로
-
이혜진;
성신여자대학교;
(音.樂.學,
v.32,
2024,
pp.7-32)
-
177.
- 피아노 악기 발달 과정에 따른 작곡가들의 작품 분석 연구 : J. S. Bach, L.v. Beethoven, F. Liszt를 중심으로
- 정한솔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48 p., 2020
-
178
-
Postcolonial Discourse based on Chinese American Composer, Tan Dun and His Work, The Map : Focusing on Mimicry, Hybridity, and the Third Space
-
Yao, Zheng;
Kim, InSul;
;
(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= Cultural exchange and multicultural education,
v.13,
2024,
pp.169-192)
-
179
-
풀렝의 '전형적인 동물들' 연구(I) : 우화의 재구성에 나타난 작곡가의 역할
-
정하영;
고려대학교;
(한국프랑스학논집,
v.110,
2020,
pp.55-91)
-
180
-
민족성과 현대성 개념을 적용한 음악 텍스트 분석 연구: 중국 작곡가 탄둔의 작품 ⟨지도(地圖)⟩를 중심으로
-
정야오;
김인설;
가톨릭대학교 공연예술문화학과;
가톨릭대학교;
(한국융합과학회지,
v.13,
2024,
pp.251-2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