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7건 중 187건 출력
, 18/19 페이지
-
171
-
1920년대 과학소설의 국내 수용양상 연구 -<80만년 후의 사회>와 <인조노동자>를 중심으로-
-
김종방;
세종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1,
pp.117-146)
-
172
-
『양은천미』에 나타난 서술방식의 통속적 양상과 그 의미-<김영낭용지가귀문>과 <봉황대회금강춘월>의 사례를 중심으로-
-
권기성;
경희대학교;
(韓國古典硏究,
v.0,
2017,
pp.87-123)
-
173
-
1910년대 초반 서사적 계몽성의 마지막 모습 -김용제와 박건병의 행적과 작품을 중심으로-
-
장노현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어문연구,
v.73,
2012,
pp.431-453)
-
174
-
근대 초기, 신문과 대중의 소통 방정식 -『일본 대중지의 원류』를 통해 한국 대중서사의 초기 전개 양상 읽기
-
강현조;
연세대 교육개발지원센터 글쓰기교실;
(대중서사연구 = Journal of popular narrative,
v.20,
2014,
pp.301-312)
-
175.
- 고전 <춘향전>의 현대 패러디텍스트에 나타난 에로스의 구현 양상 연구
- 주은숙
-
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박사,
129 p., 2018
-
176
-
삽화의 번안, 풍경의 번안-「곤지키야샤(金色夜叉)」로부터 「장한몽(長恨夢)」으로-
-
송민호;
홍익대학교;
(동아시아문화연구,
v.0,
2024,
pp.291-322)
-
177
-
1910년대 초반 『매일신보』연재소설 삽화의 판식(版式) 변화와 예술적 모색 - 목판(木版)에서 사진판(寫眞版)으로 -
-
송민호;
홍익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4,
pp.209-245)
-
178
-
한국근대소설 형성 동인으로서의 번역ㆍ번안 - 근대초기 번역ㆍ번안소설의 전개 양상을 중심으로
-
강현조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12,
2012,
pp.7-39)
-
179
-
구활자본 한글소설 《홍장군전》의 《水滸傳》 전유 양상 小考
-
유수민;
한국과학기술원;
(중국소설논총,
v.0,
2020,
pp.159-190)
-
180
-
초기 『매일신보』 연재소설 삽화란의 풍경 (3)-신문 연재소설 삽화가 초래한 신문소설 독자 감각의 변모-
-
송민호;
홍익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17,
pp.143-17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