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119건 중 1,000건 출력
, 18/100 페이지
-
171
-
재일조선인의 정체성을 보는 시각: ‘더블’의 역사성에 관한 담론을 통해
-
리홍장;
고베학원대학;
(일본비평,
v.0,
2016,
pp.134-157)
-
172
-
대학 교양 교육에서 독도 교육의 방향
-
강경리;
동서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45,
2023,
pp.201-215)
-
173
-
왜구론의 행방 : ‘바다의 역사’와 일본 중세 대외관계사
-
이수열;
한국해양대학교;
(해항도시문화교섭학,
v.0,
2019,
pp.117-148)
-
174
-
그림책을 활용한 역사교육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조망수용능력에 미치는 효과
-
김경낭;
성소영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7,
2012,
pp.47-67)
-
175.
- 하브루타 활용 수업의 초등학교 고학년 역사적 사고력 신장 효과 분석
- 임재영
-
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, 2019
-
176.
- 역사 유적지 기반 종교박물관의 활성화 방안 연구 : 장소성 개념을 중심으로
- 위혜림
-
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, 국내석사,
Ⅷ, 70p, 2021
-
177
-
독일 역사경관의 문화유산 관광자원콘텐츠에 관한 연구
-
오일환;
신용철;
경희대학교;
경희대학교;
(경관과 지리,
v.24,
2014,
pp.17-28)
-
178
-
영국의 역사교육과정(1991)과 미국의 역사표준서(1996)에서 내용 선정 및 구성의 개념으로서의 젠더
-
강선주;
;
(한국여성학= Journal of Korean women's studies,
v.24,
2008,
pp.187-220)
-
179.
- 독일의 이주배경 학생 대상 교육 프로그램 연구 : 베를린 주의 환영 학급과 베를린 국립유럽학교 운영이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
- 나정수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52, 2025
-
180
-
조선중기 외관 포폄사례 분석
-
전광섭;
호남대학교;
(한국지방자치학회보,
v.28,
2016,
pp.1-2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