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1건 중 1,000건 출력
, 18/100 페이지
-
171
-
Character and change pattern of the telecommunications base after the port opening
-
Lee, seoung-won;
;
(崇實史學,
v.47,
2021,
pp.127-145)
-
172
-
‘개척’・‘근대’・‘식민’의 중첩적 表象: 근대 시기 營口의 개항, 도시 형성, 식민체계, 삶(1858~1930)
-
윤휘탁;
한경대학교 브라이트 칼리지 교수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1,
2020,
pp.25-66)
-
173
-
The Changes in Place Perception of Incheon After Opening Port and the Emergence of New Attraction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
-
Park, Jinhan;
;
(도시연구: 역사.사회.문화 = Korean journal of urban history,
v.20,
2018,
pp.53-88)
-
174
-
開港期 文人들의 意識과 狀況 與件
-
김용직;
한국문학번역원;
(규장각,
v.0,
1981,
pp.51-58)
-
175.
- 韓國開港期 貿易의 特徵과 影響
- 김성훈
-
昌原大學校, 국내석사,
72장., 1995
-
176
-
개항장의 대중문화 유입과 전개-목포의 트로트 유입과 흥성원인을 중심으로
-
곽수경;
부경대학교 HK+연구교수;
(인문사회과학연구,
v.20,
2019,
pp.27-49)
-
177.
- 韓國 近代 建築에 關한 硏究 : 開港以後-1945年
- 황적수
-
檀國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143p., 1983
-
178
-
開港初 韓日佛敎 교류에 대한 연구
-
김경집;
동국대학교;
(불교학연구,
v.10,
2005,
pp.203-225)
-
179
-
목포 개항장 상인층의 존재양태와 그 성격
-
박이준;
;
(지방사와 지방문화 = Journal of local history and culture,
v.9,
2006,
pp.55-90)
-
180
-
개항장 釜山에서 閔建鎬가 경험한 음력과 양력
-
Kim Dong-chul;
;
(韓日關係史硏究= (The)Korea-Japan historical review,
v.46,
2013,
pp.119-15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