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7건 중 187건 출력
, 17/19 페이지
-
161
-
??매일신보?? 연재소설의 문체변화 과정 (1)
-
;
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7,
pp.76-93)
-
162
-
게일(J. S. Gale)의 『옥중화』 번역의 원리와 그 지향점 - J. S. Gale, “Choon Yang”(The Korea Magazine 1917.9~1918.8)에 누락·변용된 『옥중화』 속 언어표현의 의미
-
이진숙;
이상현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5,
pp.257-292)
-
163.
- 활자본 고전소설의 근대적 간행 양상 : 新舊書林의 간행 양상을 중심으로
- 엄태웅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ii, 114 p., 2007
-
164
-
1900년대 과학 담론과 과학 소설의 양상 고찰
-
노연숙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7,
2012,
pp.33-67)
-
165
-
한국 근대문학의 역사적 현장과 개신교선교사
-
이상현;
부산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0,
pp.95-130)
-
166
-
주식회사의 재무관련제도에 관한 개정시안
-
송종준;
충북대학교;
(저스티스,
v.0,
2006,
pp.31-59)
-
167
-
춘향전 새 이본 「옥중향(獄中香)」 개관
-
이민희;
강원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08,
pp.536-566)
-
168
-
근대 매체의 변환과 고전소설의 변화
-
김준형;
부산교육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21,
pp.327-358)
-
169
-
『대한매일신보』의 〈편편기담〉과 ‘쓰는 독자’의 출현
-
전은경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0,
2010,
pp.71-102)
-
170
-
강명화 이야기의 소설적 변용
-
김영애;
;
(한국문학이론과 비평 = Korean literary theory and criticism,
v.50,
2011,
pp.83-10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