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,552건 중 1,000건 출력
, 17/100 페이지
-
161
-
성리학적 가치관의 확산과 여성
-
김현;
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4,
pp.455-488)
-
162
-
‘人心道心說’을 통해 본 성리학의 몸담론 - 주희와 이율곡의 논의를 중심으로
-
김미영;
;
(哲學,
v.73,
2002,
pp.5-26)
-
163
-
성리학과 서학의 공존: 다산 정약용의 사칠설
-
최정연;
안양대학교 신학연구소;
(유학연구,
v.54,
2021,
pp.155-184)
-
164
-
[논論과 쟁爭 2] 성리학 논의의 독법讀法 - 이번 논쟁을 보는 하나의 독법으로서
-
김기현;
;
(오늘의 동양사상,
v.12,
2005,
pp.65-87)
-
165.
- 나무의 존재론적 위치 -성리학(性理學)적 관점을 기초로-
- 權己烈
-
慶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49 p., 2004
-
166
-
수몽 정엽의 생애와 성리학
-
유지웅;
전북대학교;
(孔子學,
v.0,
2010,
pp.79-110)
-
167
-
Discourses on Seo-Myeong by Yi Hwang and Neo-Confucian scholars during the Joseon Dynasty
-
Jang, Yun-Su;
;
(退溪學報 = The Journal of T'oegye Studies,
v.151,
2022,
pp.5-44)
-
168
-
성리학과 홀리즘의 비교
-
김철호;
경인교육대학교;
(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,
v.17,
2013,
pp.43-63)
-
169
-
주자 성리학에서 두 가지 연원의 성론(性論)
-
김한상;
명지대학교;
(한국학연구,
v.0,
2023,
pp.375-407)
-
170
-
Analysis of Neo-Confucian Vocation Ethics Appeared in Hwaseong-Seongyeok-Uigwe
-
Park, Si-Yeon;
;
(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=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-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,
v.24,
2023,
pp.582-59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