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921건 중 1,000건 출력
, 17/100 페이지
-
161.
- 朝鮮朝의 開港過程 硏究 : 1876-1886
- 박상만
-
圓光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, 2003
-
162
-
The Nationwide Spread of Japanese Theater and Local Cultural Field after Opening of the Port - Based on the list of Japanese-owned theaters -
-
Lee, Hee-Hwan;
;
(畿甸文化硏究 = Journal of Kyeong Ki Cultural Studies,
v.43,
2022,
pp.21-54)
-
163
-
한국민족자본의 성립에 관한 연구 - 개항부터 한일합방까지 -
-
조기준;
;
(亞細亞 硏究,
v.6,
1963,
pp.1-54)
-
164.
- 開港 以後 서울의 韓屋變化 硏究
- 이명은
-
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, 2001
-
165
-
한국 개항장도시의 기념사업과 기억의 정치 - 인천의 집단기억과 장소성을 중심으로
-
오미일;
배윤기;
;
(사회와역사,
v.83,
2009,
pp.45-81)
-
166
-
동아시아 삼국의 개항장(開港場)과 미술
-
한정희;
홍익대학교;
(한국근현대미술사학(구 한국근대미술사학),
v.0,
2014,
pp.85-112)
-
167.
- 2015 개정 교육과정 『동아시아사』와 『세계사』 교과서의 ‘동아시아 삼국의 개항 및 근대화 운동’에 대한 구성 및 서술 내용 비교 분석
- 최호윤
-
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, 국내석사,
80, 2022
-
168
-
군산미(群山米)의 대일 수출구조 - - 개항(1899년)~1910년대를 중심으로 -
-
최은진;
;
(역사와 현실,
v.2011,
2011,
pp.343-383)
-
169
-
新北九州空港3月16日いよいよ開港!
-
高丸 司;
;
(電氣學會誌 =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of Japan,
v.126,
2006,
pp.102-102)
-
170
-
개항 전후 실학의 변용과 근대개혁론
-
김도형;
연세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04,
pp.389-4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