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4건 중 214건 출력
, 16/22 페이지
-
151
-
화서학파 인물들의 시가에 나타난 옥계구곡의 장소성
-
이효숙;
강원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14,
pp.265-296)
-
152
-
‘아하! 표현활동’ 중심의 국어도덕융합을 통한 창의적이고 바른 언어능력 신장
-
이효숙;
경남 안명초등학교;
(미래교육연구,
v.4,
2014,
pp.85-104)
-
153
-
유아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
-
이효숙;
광주보건대학교;
(한국교원교육연구,
v.32,
2015,
pp.405-424)
-
154
-
조선후기 여성 문인의 시사와 김경춘의 비평
-
이효숙;
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7,
pp.99-124)
-
155
-
⟨호동서락기(湖東西洛記)⟩의 산수문학적 특징과 금원의 유람관
-
이효숙;
강원대학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0,
pp.173-212)
-
156
-
지식 대중화를 위한 문학의 이용 - 플뤼슈 신부의 ⟨자연의 경관⟩
-
이효숙;
연세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1,
2012,
pp.5-32)
-
157
-
일본인의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발음교육
-
이효숙;
인하대학교;
(교육문화연구,
v.14,
2008,
pp.179-213)
-
158
-
기사환국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 양상 - 장동 김문을 중심으로 -
-
이효숙;
건국대학교;
(국제어문,
v.0,
2019,
pp.183-210)
-
159
-
피카레스크 양식의 관점에서 본 『출세한 농부』
-
이효숙;
연세대학교;
(유럽사회문화,
v.0,
2019,
pp.27-56)
-
160
-
장소성 기반 자기 성찰 글쓰기 수업 모형 개발
-
이효숙;
건국대학교;
(문화와융합,
v.39,
2017,
pp.113-1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