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7건 중 187건 출력
, 16/19 페이지
-
151.
- 근대 계몽기 정체(政體) 담론과 지식인-문인 공공영역의 생성 : 협회·학회 운동과 사대부적 공공영역의 장기 변환을 중심으로
- 전성규
-
成均館大學校, 국내박사,
266 p., 2018
-
152
-
자유의 종소리와 계몽의 들림 : 대한제국기 연설장의 파급과 ‘속기술’이라는 테크놀로지
-
송민호;
홍익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9,
pp.9-35)
-
153
-
동아시아 추리소설과 근대문명 -근대 동아시아 추리소설 장르의 기원과 그 수용-
-
박소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9,
pp.99-126)
-
154
-
月沙 李廷龜家系의 文學 傳承 硏究 - 月沙·白洲·靑湖가 鳴巖에게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
-
이명희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90,
2016,
pp.177-203)
-
155.
- 구활자본 시대의 애정소설 연구
- 최태진
-
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79p., 2005
-
156
-
일본 번안 소설의 출현과 이도영의 소설 표지화의 혁신
-
김예진;
국립현대미술관;
(근대서지,
v.29,
2024,
pp.549-583)
-
157
-
김연수제 춘향가의 소설 옥중화 수용과 의미
-
김경희;
;
(韓國傳統音樂學,
v.2005,
2005,
pp.107-144)
-
158
-
멕시코 이주 서사에 나타난 조선인 디아스포라의 정체성 형상화 연구
-
정하늬;
성결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21,
pp.519-557)
-
159.
- 신소설 서사기법의 구술문화적 특성에 관한 연구
- 김윤진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08 p., 2015
-
160
-
20세기 초 활자본 고소설 연구의 지평과 전망
-
권순긍;
세명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23,
pp.43-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