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214건 중 1,000건 출력
, 16/100 페이지
-
151
-
조선 전기 강호 시조의 전개 국면 - ‘조월경운’과 ‘치군택민’의 개념을 중심으로
-
나정순;
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9,
2008,
pp.67-104)
-
152
-
파주 화석정의 역사와 문화사적 의미
-
임영길;
단국대학교 한문교육연구소;
(한국한문학연구,
v.0,
2024,
pp.331-366)
-
153
-
율곡 이이의 조세개혁정책과 대공수미법 시행 제안에 관한 연구
-
최학삼;
;
(조세연구,
v.16,
2016,
pp.59-82)
-
154
-
율곡 이이의 경제사상과 그 현대적 해석
-
이재석;
영산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32,
2020,
pp.29-57)
-
155
-
SSR 마커를 이용한 산양삼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
-
길진수;
엄유리;
변재경;
정종욱;
이이;
정찬문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;
한국임업진흥원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(韓國藥用作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,
v.25,
2017,
pp.389-396)
-
156
-
닥나무 속 식물의 엽록체 유전체 기반 InDel 마커의 개발
-
이은지;
김윤아;
이미선;
김주혁;
최용규;
김정성;
신창섭;
이이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충북대학교 산림학과;
충북대학교 산림학과;
충북대학교 산림학과;
충북대학교 특용식물학과;
(韓國資源植物學會誌 =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,
v.36,
2023,
pp.290-298)
-
157
-
율곡 이이: 결핍과 채움의 인격교육적 삶
-
송수진;
경북대학교;
(인격교육,
v.9,
2015,
pp.31-48)
-
158
-
왕필, 소옹의 중국역학과 이이, 정약용의 한국역학에 담긴 창의적 우주관
-
이난숙;
강원대학교 강원문화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1,
2020,
pp.157-191)
-
159
-
율곡 이이의 ‘리기지묘(理氣之妙)’ 사유에 대한 재고찰
-
김동희;
충남대학교;
(유학연구,
v.32,
2015,
pp.37-78)
-
160
-
율곡 이이의 『격몽요결』편찬과 성리학적 이념의 실천
-
이민경;
부산대학교;
(율곡학연구,
v.42,
2020,
pp.123-15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