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63건 중 263건 출력
, 16/27 페이지
-
151
-
유역단위 홍수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치수안전도 평가방안
-
이민우;
장원재;
이용관;
김지성;
(주)이산 수자원1부;
(주)이산 수자원1부;
(주)이산 수자원1부;
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;
(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,
v.2022,
2022,
pp.220-220)
-
152
-
암모니아 가스와 반복 피로가 PET 섬유의 내부 구조와 물성에 미치는 영향
-
이용관;
이기환;
방윤혁;
조현혹;
부산대학교 섬유공학과;
(주)효성 섬유연구소;
한화석유화학연구소;
부산대학교 섬유공학과;
(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(Proceedings of the Korean Textile Conference) 상,
v.2001,
2001,
pp.71-74)
-
153
-
Frequency Analysis on Parametric Resonance of Periodically Non-stationary Systems with Distributed Parameters
-
이용관;
체추린;
St. Petersburg State Polytechnic University;
(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,
v.2004,
2004,
pp.295-299)
-
154
-
격자기반 수문 모델을 이용한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하천건천화 영향 평가
-
정충길;
이용관;
장선숙;
김성준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;
(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,
v.2015,
2015,
pp.102-102)
-
155
-
댐-보 연계방류를 고려한 분포형 유역수문 모델링을 통한 금강유역의 하천갈수 평가기법 개발
-
이용관;
김원진;
정충길;
김성준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영산강홍수통제소 예보통제과;
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;
(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,
v.2020,
2020,
pp.103-103)
-
156
-
댐·보 방류량 자료를 활용한 분포형 수문모형 기반 하천 갈수량 추적 알고리즘 개발
-
이용관;
정충길;
김원진;
김성준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사회환경공학부;
(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,
v.2019,
2019,
pp.29-29)
-
157
-
Sentinel-1 SAR 위성영상과 Water Cloud Model을 활용한 시공간 토양수분 산정
-
정지훈;
이용관;
김세훈;
장원진;
김성준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;
(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,
v.2022,
2022,
pp.28-28)
-
158
-
Terra MODIS 위성영상과 토양수분 부족지수를 이용한 증발산량 산정 연구
-
김진욱;
이용관;
정지훈;
이지완;
김성준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;
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;
(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,
v.2023,
2023,
pp.119-119)
-
159
-
영광1호기 시뮬레이터 노심계통 연계기술 개발
-
홍진혁;
이명수;
이용관;
서인용;
한전전력연구원;
한전전력연구원;
한전전력연구원;
한전전력연구원;
(한국원자력학회 2004년도 요약집 춘계학술발표대회,
v.2004,
2004,
pp.225.1-225.1)
-
160
-
인간활동이 낙동강 유역의 질소, 인의 부하량과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 평가
-
우소영;
김원진;
김용원;
이용관;
김성준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대학원 사회환경플랜트공학과;
건국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공학부;
(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,
v.2022,
2022,
pp.49-4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