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2건 중 182건 출력
, 16/19 페이지
-
151
-
朝鮮後期 王室 八高祖圖의 성립과정
-
김일환;
한국학중앙연구원;
(藏書閣,
v.0,
2007,
pp.73-95)
-
152
-
存齋 魏伯珪의 性理說 연구
-
박학래;
변주승;
군산대학교;
전주대학교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3,
pp.164-196)
-
153
-
동아시아에서 전시와 이데올로기의 관계에 대하여 - 한국과 일본 국립박물관의 상호 문화재 전시의 중요성을 중심으로
-
선승혜;
;
(현대미술학 논문집,
v.11,
2007,
pp.137-165)
-
154
-
대한제국기 이후 황실 소유 토지의변화 양상 -원서동을 중심으로-
-
정수인;
서울역사박물관;
(서울과 역사,
v.0,
2023,
pp.233-273)
-
155
-
明人 董越의 <朝鮮賦>에 묘사된 15世紀 山臺雜戱 재검토
-
안상복;
강릉원주대학교;
(중국어문학지,
v.0,
2014,
pp.195-224)
-
156
-
『한국사』 교과서의 민족주의적 역사서술 분석-고대사 부분의 서술내용을 중심으로-
-
정동준;
성균관대학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9,
pp.195-220)
-
157
-
근대 매체의 변환과 고전소설의 변화
-
김준형;
부산교육대학교;
(고소설연구,
v.0,
2021,
pp.327-358)
-
158.
- 백제의 위상과 교육에 관한 연구
- 오정민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0 p, 2024
-
159
-
1930년대 이무영 아동문학 연구
-
정진헌;
김승덕;
안동대학교;
건국대학교;
(한국아동문학연구,
v.0,
2016,
pp.173-196)
-
160
-
만주족의 그늘-만주 구룬(manju gurun)의 언어정책, 1599-1796
-
이영옥;
성신여자대학교;
(중국학보,
v.0,
2008,
pp.223-2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