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303건 중 1,000건 출력
, 16/100 페이지
-
151
-
제 2언어로서의 영어 습득에 작용하는 보편문법의 역할에 대한 고찰
-
임창근;
;
(極東情報大學論文集,
v.10,
2003,
pp.255-270)
-
152
-
Korrektur und Feedback sowie deren Rezeption im DaF-Unterricht in Korea
-
Yu, Suyon;
;
(獨語敎育= Koreanische zeitschrift fur Deutschunterricht,
v.68,
2017,
pp.49-72)
-
153
-
전략적 방법을 활용한 역할극 연구: 언어습득시기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중심으로
-
최숙희;
김성헌;
한국과학기술원;
단국대학교;
(영어어문교육 = English language & literature teaching,
v.11,
2005,
pp.203-224)
-
154
-
혼합연구 방법을 이용한 다문화아동의 언어 습득에 관한 인식 연구
-
황상심;
남부대학교 언어치료학과;
(언어치료연구,
v.33,
2024,
pp.79-90)
-
155.
- 최소주의 문법론에서 분석한 영어 모국어 화자의 초기 언어 습득
- 주영숙
-
부산외국어대학교, 국내박사,
ii, 121 p., 2012
-
156
-
The Effect of Structural Differences in English on L2 Acquisition
-
Kim, Bokyeong;
;
(언어과학연구 = The journal of linguistic science,
v.84,
2018,
pp.75-91)
-
157.
- 언어습득 전/후 전농환자의 뇌 연결성 변화
- 김은경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56장, 2011
-
158.
- 제2언어로서의 한국어 영주어와 영목적어 습득 연구
- 정진희
-
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82 p., 2011
-
159
-
제2언어 습득의 결정적 시기: 발달학적 모델에 기초한 문헌 분석
-
채수은;
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;
(한국심리학회지:발달,
v.25,
2012,
pp.105-120)
-
160.
- 가정에서의 이중 언어 교육을 통한 유아의 영어 습득 사례 연구
- 강현주
-
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183, 2019